본문 바로가기
기타 진열장/여러정보들 집합소

고려와 조선시대 중국으로 끌려간 공녀들에 대해 알아보자

by JiNan's 2021. 8. 19.
반응형

공녀는 한마디로 말해서 나라와 나라 사이에 바쳐지던 여성들을 말한다.
주로 강대국의 간섭을 받는 약소국이 강대국의 요구에 따라 자국의 젊은 미혼 여성들을 모아서 보냈다.
강대국인 황제국이나 상국이 제후국에 공녀를 요구한 일차적 목적은 궁녀를 확보하기 위해서였고,
공녀가 고관의 첩이 되거나 유곽에 투입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예외였다. 

대부분의 공녀는 황제국에 가서 궁녀가 되었다.

황제국이 제후국에서 궁녀를 충원한 것은 궁녀를 모으기가 그만큼 힘들었기 때문이다.

황제국이든 제후국이든, 궁녀를 모으는 것은 어느 나라에서나 다 존나 힘든 일이었다. 
사극이나 동화에서는 궁녀가 꽤 괜찮은 자리였던 것처럼 묘사되는 경우가 많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평민 여성들은 노예나 다름없는 궁녀 자리를 기피했다. 
궁녀는 자유인 신분이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평생 독신으로 살면서 중노동을 해야 했다.

그래서 대부분의 여성들은 궁녀가 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물론 개중에는 왕비가 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런 일은 몇 백 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 했다.

상당수의 궁녀는 평생토록 왕의 근처에 가지도 못했고,

어쩌다 왕의 관심을 끈다 해도 왕비나 후궁에 의해 목숨을 잃기 쉬웠다.

(특히 왕비가 투기가 심하면 심할수록 더 그랬다) 

그렇기 때문에 황제국은 자국민들의 저항을 피할 목적으로 이런 일을 제후국에 떠넘긴 것이다.

한편 제후국은 자기 나라 궁궐에 들일 궁녀뿐만 아니라 황제국 궁궐에 들일 궁녀까지 뽑아야 했으니,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고려사》에 근거한 공식적인 통계에 따르면

1275년부터 1355년까지의 80년간 원나라에 끌려간 고려 공녀는 공식적으로 176명이다.

보통 10대에서 20대 초반까지인 공녀들은 원칙상 상품으로 취급되어 원나라에 끌려갔다.

상품으로 끌려갔다는 것은, 이들을 보내는 조건으로 고려가 대가를 받았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인간이 상품으로 거래되던 20세기 이전의 모습을 반영하는 것이다. 
고려에서 공녀가 포함된 조공품을 일괄적으로 제공하면,

원나라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회사품(回賜品, 답례품)을 일괄적으로 지급했다.

'일괄적으로 거래했다'는 것은,

공녀 1명씩에 대해 별도로 값을 매기지 않고 공녀가 포함된

조공품 전체에 값을 매긴 뒤 답례품의 종목과 수량을 결정했다는 뜻이다. 


《고려사》 '고종세가'에 실린 국서에 따르면,

칭기즈 칸의 3남인 오고데이칸은 "사신을 통해 고려 왕에게 물건을 보내니, 그것을 받으면 답례 물품을 보내라"고

하면서 남녀 인질 및 금·은·구슬·말·수달피 등과 함께 공녀를 보낼 것을 요구했다.
이처럼 인신매매, 인질, 포로 등과는 다른 개념이나,

공녀로 선발된 여성들의 입장에서는 평생 부모 형제와 헤어져

이역만리에서 궂은 일을 하며 일생을 보내는 것은 마찬가지라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게다가 궁궐에서 중노동을 하고 결혼·이성교제가 금지되는 것에 더해, 언어 및 문화적 고충까지 덤으로 짊어져야 했다.

아무튼 공녀 차출을 피하기 위해서

딸을 조혼시키거나(기혼 여성은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므로) 숨기는 일은 예삿일이었으며,

차출된 여성이 신세를 비관하다 자살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이 정도로 기피되는 일이었으면 힘이 없는 하층민 여성들만 공녀가 되었을 것 같지만,

공녀들 중에 이른바 좋은 출신의 여성을 포함해 보내도록 요구받았기 때문에

상류층 여성들도 공녀로 끌려가곤 했다. 
심지어 출세를 위해 자발적으로 딸이나 여동생을 원나라 고위층에 공녀로 바치던 부원세력들도 있었다. 
일례로, 강종의 서녀인 수령궁주가 딸을 공녀로 보낸 충격으로 병사한 내용이 수령궁주의 묘비에 기록되어 있다.
원나라를 대신해서 중국 대륙과 만주를 차지한 명나라에서도 공녀를 요구해왔다.
조선 초기에 명나라에서는 모두 12차례에 걸쳐 공녀를 요구하였다.

이 가운데 명나라 황제의 사망 등으로 5차례는 중지되고 실제로 처녀가 보내진 것은 7차례였다.

태종 8년(1408)에 처음으로 공녀를 보냈고,

1408년에서 1417년까지 3차례에 걸쳐 40명의 공녀가 명나라로 갔음.

그리고 세종(1427~1433)때 4차례에 걸쳐 74명의 공녀가 보내졌다.

명나라의 경우는 원나라와 다르게 뽑힌 처녀와 처녀를 모실 여종들 역시 함께 갔다.
기록에 따르면 뽑힌 처녀는 모두 16명이었지만, 그에 따른 여종들은 48명으로

이밖에도 집찹녀 42명과 기무녀 8명을 합하면 모두 114명의 공녀가 바쳐진 셈이었다.
일단 공녀를 보내라는 요청이 오면 조선 조정은 임시로 진헌색(進獻色)이라는 기관을 설치하고

나이 어린 양가 처녀들을 선발하였다.

하지만 자진해서 머나 먼 이국땅으로 고이 기른 딸을 보낼 사람은 없었다.
그리하여 나라에서 내린 금혼령을 피해 황급히 딸들을 결혼시키는가 하면,

몹쓸 병이 들었다고 거짓 고하기도 하고 몰래 숨겨놓기도 하였다.

공녀를 원한 명나라 황제들 중 유명한 사람은 영락제였다.

조선의 여자들이 상냥하고 아름답다는 소문에, 사신(황엄)을 여러 차례 보내 공녀(貢女)를 차출하게 하였다.

영락제가 생존해있는 동안 총 3번의 공녀 차출이 있었다.(1408년, 1409년~10년, 1417년)

그 중, 첫 번째 공녀에 속하여 그 중 첫째라고 하는 권씨는

영락제의 본처인 인효서황후(仁孝徐皇后)가 1407년 죽은 후 명나라에 공녀로 바쳐졌는데,

전하는 말에 따르면 영락제는 권씨를 총애하여 현인비(顯仁妃)에 봉했다.
그래서인지 《명사 후비전》에 기록된 유일한 조선 여인이기도 하다.

영락제 사후에는 선덕제가 딱 한 번 공녀를 요구하였고, 그 후 조선에서 공녀 차출은 더 이상 없었다.

물론 정덕제가 조선에 공녀를 요구하려고 하였으나 급사하는 바람에 사신이 요동에서 발길을 돌렸다.

 

공녀라고 보긴 어렵지만 청나라의 아이신기오로 도르곤이 조선의 공주를 부인으로 들이고자 요구한 적이 있다.

이때 보내진 인물이 의순공주.

결혼 후 1년만에 도르곤이 사망하고 반역죄로 철퇴를 맞자

의순공주는 그의 조카에게 보내졌으나 그마저 사망하여 의순공주는 6년 후에야 돌아왔다.
이후에 조선 말기에는 청나라 대신 위안스카이가

조선의 간호사들을 자기 첩으로 삼으려고 청나라로 자꾸 데려가자 미국 공사가 빡쳤다는 일화도 존재한다.

3줄요약
1. 공녀는 존나 힘든것이었다.
2. 끌려가지 않으려고 온갖 방법을 다쓴 김치녀 조상들
3. 나라가 힘이 없으면 여자들부터 좆되는거다. 김치녀들은 명심하자.

 

 

 

출처: 옛날 중국으로 끌려간 공녀들에 대해 알아보자.araboji

댓글